1. @import 방식으 CSS 최상단에 복붙
1 | @import url("https://cdn.jsdelivr.net/gh/orioncactus/pretendard@v1.3.4/dist/web/static/pretendard.css"); |
2. font-family 설정
1 | body { |
- font-family는 하나로 정해두고 굵기는 원하는 부분에서 font-weight로 조절한다.
1 | @import url("https://cdn.jsdelivr.net/gh/orioncactus/pretendard@v1.3.4/dist/web/static/pretendard.css"); |
1 | body { |
CSS는 많은 텍스트 속성을 가지고 있다.
❗️ 여기서 중요한 것은 text의 색상과 배경색의 대비이다. 이는 시각적인 문제에 있어 매우 중요하므로 대비를 고려하여 스타일링 해야한다.
text-align 속성은 text의 가로 정렬을 위해 사용된다.
1 | p { |
vertical-align 속성은 요소의 세로 정렬을 위해 사용된다.
1 | img { |
text-decoration 속성은 text에 라인을 추가한다.
❗️ 다만, underline 속성은 a 태그와 헷갈릴 수 있으니 유의하도록 하자.
a 태그는 기본값으로 underline 속성이다. 이것을 제거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한다.
1 | a { |
텍스트의 소문자, 대문자를 지정할 수 있다.
1 | p.uppercase { |
첫줄의 들여쓰기 너비를 지정하는 속성이다.
1 | p { |
글자 간격을 설정하는 속성이다.
1 | h1 { |
라인 사이의 공백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.
1 | p.small { |
글자의 그림자를 설정하는 속성이다.
1 | h1 { |
첫번째부터 가로길이, 세로길이, blur, 색상이다.
1 | h1 { |
여러가지 그림자를 설정할 수도 있다.
🔥 font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!
왜냐하면 폰트를 적절히 선택하면, 웹사이트 브랜드와 가독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.
computer 화면에서는 sans-serif 폰트가 serif 폰트보다 더 가독성이 좋다.
font-family 속성의 이름이 한 단어 이상이면, 따옴표로 감싸줘야한다.
1 | .p1 { |
모든 브라우저와 장치에 범용적으로 설치된 웹 폰트가 있다. 하지만 100% 모든 곳에 지원하는 웹 폰트는 없기 때문에 fallback 폰트를 지정해줘야한다.
위 예시에서도 첫번째 폰트가 없으면 다음 폰트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fallback 폰트를 지정해줬다.
주로 사용되는 웹 폰트는 다음 5가지이다.
font-style은 italic 텍스트를 사용할 때 설정한다.
1 | p.normal { |
font-weight 속성은 font의 두께를 설정한다.
1 | p.normal { |
폰트 사이즈를 설정하는 속성이다. 절대크기이거나 상대크기 일 수 있다.
❗️ 주의사항
폰트 사이즈를 사용하여 제목을 단락처럼 보이게 하거나 단락을 제목처럼 보이게하면 안된다. 제목은 h1
~ h6
, 단락은 p
태그와 같이 적절한 태그를 사용해야한다.
브라우저 메뉴에서 사용자가 글자를 재설정하는 것을 허락하기위해 pixel 대신 em을 사용한다.
1em은 현재 폰트 크기와 동일하다. 브라우저에서 기본 폰트 사이즈는 16px이다. 즉, 1em = 16px
pixel / 16 = em 이라는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.
1 | h1 { |
모든 브라우저에 작동하는 해결책은 body
태그의 기본 폰트 크기를 %로 설정하는 것이다.
1 | body { |
만약 HTML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폰트가 싫다면 Google font를 사용해라.
1 | <head> |
1 | <head> |
|
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.
구글 폰트는 기본적으로 font 효과를 제공한다.
1 | <head> |
author.bio
author.job