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GET

GET 방식은 전송 URL에 입력 데이터를 쿼리 스트링으로 보내는 방식
ex) http://jsonplaceholder.typicode.com/posts?userId=1&id=1

  • 전송 URL 바로 뒤에 ?를 통해 데이터의 시작을 알려주고, Key-value 형태의 데이터 추가한다.
  • 캐시가 가능하다.
  • 1개 이상의 전송 데이터는 &로 구분한다.
  • URL에 전송 데이터가 모두 노출되어 보안에 문제가 있어 민감한 정보는 사용하지 않는다.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한계가 있다. (최대 255자)
  • REST API에서 GET 메소드는 모든 또는 특정 리소스의 조회를 요청한다.
    GET 요청 보내면 ~ 이거이거 조회할게요~

📌 POST

POST 방식은 사용자의 요청을 Request Body에 담아 보내는 방식
ex) http://jsonplaceholder.typicode.com/posts

  • URL에 전송 데이터가 모두 노출되지 않지만 GET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.
  • 캐시가 불가능하다.
  • 데이터 길이와 타입의 제한이 없다.
  • REST API에서 POST 메소드는 특정 리소스의 생성을 요청한다.
    POST 요청 보내면 ~ 이거 생성해주세요~